본문 바로가기
노코드기초

노코드 툴 버블(bubble.io) 회원가입 한 번에 끝내기!

by 노코더 2023. 1. 20.

노코드 툴 버블(bubble.io) 같은 경우 영어로 되어 있어 많은 분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국어 강의가 굉장히 부족하기 때문에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버블(bubble.io)에서 회원 가입하는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구글 아이디를 활용한다면 더욱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버블(bubble.io) 메이화면

1. 버블(bubble.io) 메인화면

노코드 툴 버블 홈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메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우측 상단에 보이는 Get Started를 클릭하게 되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영어라고 해서 당황할 필요가 없습니다. 

 

회원가입 이미지

2. 회원 가입 폼 작성

다음으로 진행할 것은 회원가입 폼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처음 설명드린바와 같이 구글 아이콘이 있는 Log in with Google을 클릭하게 되면 쉽게 가입이 진행되지만, 개인 이메일로 가입하고 싶다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추후 쉽게 로그인을 하기 위해선 구글 회원가입을 추천드립니다. 여러모로 편리한 게 많습니다.

 

버블 앱생성

3. 버블(bubble.io)앱 생성

회원가입을 마치게 되면, 앱을 생성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이곳에서 새로운 앱을 생성해 주시면 됩니다. 버블 같은 경우 웹/앱을 지원하는 노코드 툴이고, 버블 자체적으로도 앱이라는 단어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웹을 기반으로 한 앱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잘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기능 설명 이미지

4. 버블 기능 선택 페이지

버블 같은 경우 프로젝트 별로 요금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유료 결제를 할 것인지 물어보게 되는데, 처음 제공해주는 무료 trial 14일을 사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결제가 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Start with basic reatures를 선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14일 이후 까먹고 해지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불상사가 발생하게 되니 조심하세요. 

 

앱 생성 후 최초 화면

5. 앱 생성 후 최초 화면

앱을 생성하게 되면 여러가지 설정을 하는 이미지가 나오게 되는데, 스킵을 하면서 쭉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처음 앱을 생성하고 나면 설정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그러니 처음에는 Skip을 눌러 넘어가 주도록 하겠습니다.

 

컴포넌트 확인

6. 컴포넌트 확인

최근 버블이 업데이트를 하면서 유저들이 많이 사용하는 U를 컴포넌트로 제공해주기 시작했습니다. 개인적으로 header와 sign up 엘리먼트는 굉장히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버튼과 관련된 워크플로우가 설정이 되어 있고, 추가하고 싶은 기능만 추가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초기 개발 시간을 굉장히 크게 단축시켜줍니다.

 

Preview 확인

7. Preview 확인

마지막으로 개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Preview 버튼이 있습니다. 프리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지금까지 개발한 모든 내용을 실제 환경처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오픈하기 전에 확인해 보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회원가입 후 앱 생성 그리고 기본적인 버블(bubble.io)의 기본 UI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전반적인 페이지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