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블클론

노코드로 NFT 마켓플레이스 만들기 1탄 : 데이터 베이스 설계

by 노코더 2022. 11. 14.

크립토 시장은 윈터로 차가운 겨울이지만, NFT 시장만큼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하다. 그래서인지 NFT 마켓플레이스 제작을 고려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코드 툴인 버블(bubble.io)로 NFT 마켓플레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

 

오픈씨와 같은 NFT 마켓플레이스를 제작하려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필요하다. 개발 지식이 없고 스스로 만들어보고자 한다면, 아래 페이지를 그대로 만들어 본 뒤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오픈씨 메인페이지 이미지

1. NFT 마켓플레이스 페이지 종류

 

1) Home : 처음 방문 유저들을 만나는 페이지. NFT 탐색 및 검색을 포함하여 다양한 컬렉션을 보여준다.

2) Marketplace : 거래 중인 NFT 목록을 보여주는 페이지.

3) Item : NFT에 대한 소개 및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페이지.

4) Create Item : NFT를 만들고 발행할 수 있는 페이지.

5) Connect : 메타마스크와 같은 가상 자산 월렛을 연결할 수 있는 페이지.

6) Account : 유저 정보 및 NFT 컬렉션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버블(bubble.io)의 가장 큰 강점은 페이지와 페이지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 툴로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한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일이며, NFT 마켓플레이스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 데이터 베이스 설계

전반적인 페이지 구성이 끝났으니 이제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차례이다. 사실 데이터 베이스 구축만 잘 되면 어떤 서비스든 개발하는 게 수월하다. 특히 노코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이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눈여겨보면 좋을 것 같다.

노코드 툴을 활용해서 서비스를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는 팀들도 있지만, 규모가 커지면 속도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때문에 초기 개발 시 MVP를 목표로 하는 것이 좋으며, 가설 검증이 끝나고 어느 정도 자리가 잡힌다면 본격적인 서비스 개발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포스팅은 MVP 개발을 목표로 제작되었으며, NFT 마켓플레이스에 필요한 아주 기본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유저 타입 필드명
유저 타입 필드명
유저 타입 필드 완성 이미지
유저 타입 필드 완성 이미지
NFT 데이터 타입
NFT 데이터 타입
NFT 데이터 타입 완성 이미지
NFT 데이터 타입 완성 이미지
콜렉션 타입 필드명
콜렉션 타입 필드명
콜렉션 데이터 타입 완성 이미지
콜렉션 데이터 타입 완성 이미지

 

노코드로 NFT 마켓플레이스 만들기 1탄 : 데이터 베이스 설계는 여기까지. 위 모든 내용은 버블에서 제공하는 How to build an NFT marketplace with no-code를 참고해서 만들었다.

댓글